게시판 뷰
게시판 뷰페이지
7/2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철학, 미학 강좌 : 후설의 현상학, 미학적 인간학, 해러웨이 읽기
작성자 다중지성의 정원
날짜 2018.06.22
조회수 2,312

 


[철학] 후설의 현상학 입문, 세계에 대한 참된 긍정의 길

강사 김동규
개강 2018년 7월 2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2:30 (5강, 87,500원)

강좌취지
20세기 유럽철학의 새로운 문을 연 인물은 단연 에드문트 후설이다. 그가 창시한 현상학은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레비나스 등 이른바 현상학의 후계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미학, 윤리학, 종교철학, 신학, 사회학 등의 다른 학문 분과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런 점에서 후설의 현상학은 20세기 이후 새로운 사유의 길로 진입하려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통과해야 할 관문이다. 특별히, 현상학은 현상이라는 가장 근원적으로 주어지는 사태 그 자체의 주어짐을 긍정함으로서, 어떤 점에서 니체가 말한 ‘삶에 대한 긍정’을 니체보다 더 철저하고 분명하게 보여준 철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현상 세계에 대한 긍정과 그 의미의 풍성함이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수강생들은 삶의 의미의 새로운 층위로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본 강의에서는 이런 목적 아래,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해독하기 힘든 암호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후설의 현상학을 최대한 알기 쉽게 소개하고, 우리에게 나타나고 주어지는 현상의 작용 원리가 무엇인지 공부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1강 후설의 철학 개념과 문제의식
2강 후설의 초기 현상학적 입장. 『논리연구』를 중심으로
3강 후설의 초월적 관념론과 현상학적 환원
4강 후기 후설의 현상학. 『유럽학문의 위기와 초월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5강 후설 현상학의 후예들: 하이데거, 레비나스, 그리고 마리옹
· 진행 상황과 수강생들의 이해의 폭을 고려해서 강의 진행상 약간의 수정이 있을 수 있음.

참고문헌
교재 : 단 자하비, 『후설의 현상학』, 박지영 역, 파주: 한길사, 2017.
참고문헌 : 피에르 테브나즈,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김동규 역, 서울: 그린비, 2011.

강사소개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이후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폴 리쾨르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은 다음, 같은 학교에서 마리옹과 리쾨르의 주체 물음을 연구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벨기에 루벤(루뱅)대학교(KU Leuven) 신학&종교학과에서 마리옹의 종교철학에 관한 논문을 쓰고 석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피에르 테브나즈의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탈출에 관해서』,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 폴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 앤서니 티슬턴의 『성경해석학 개론』, 리처드 마우의 『칼빈주의 라스베가스 공항을 가다』, 재커리 심슨의 『예술로서의 삶』(공역)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공저), 『선물과 신비: 장-뤽 마리옹의 신-담론』이 있다.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했고, 현재 같은 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연구원이며,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의 운영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미학] 미학적 인간학 : 또는 무-감(無-感)의 미학

강사 한보희
개강 2018년 7월 5일부터 매주 목요일 저녁 7:30 (8강, 140,000원)

강좌취지
이 강의는 정신분석학과 이데올로기 비판(라캉-지젝), 바디우의 존재론과 랑시에르의 미학-정치학 등의 시각으로 서양 미학사의 주요 사상들을 다시 읽고, 여러 예술작품과 문화텍스트들을 감상, 분석해가면서 (1) 우리 몸의 다섯 가지 감각(오감)과 몸 너머에서 이뤄지는 불가능한 감각(육감, 언어)이 어떻게 모순과 역설 가운데 어우러지는지 (2) 그렇게 뒤엉켜 만들어진 역동이 어떻게 일상적 감각과 예술 장르들 ― 음식과 의상에서 음악과 회화, 문학과 영화를 거쳐 가상현실에 이르기까지 ― 을 빚어내는지 (3) 또 어떻게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인 사건과 행위들을 표현하고 구성해내는지 살펴보려 한다. (4) 이를 통해 삶의 의미와 무의미를 한꺼번에 유희하는 ‘예술로서의 삶’이 미학의 종국적 이념이자 지평임을 이해하게 될 것이며, 역으로 ‘삶을 예술로 조형’해가는 데 있어 미학이 어떤 원리와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게 될 것이다.

1강 미학적 인간의 탄생 : 무(無)에 매개된 또는 해방된 감각으로서의 미적 감각
2강 이데아와 아니마 사이에서, 미메시스와 카타르시스 : 플라톤의 『국가』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그리고 비극(소포클레스의 테베 3부작)
3강 신의 나라와 인간의 도시 사이에서, 역사적 삶의 신성과 자연성 : 아우구스티누스와 플로티노스 그리고 중세미학
4강 아는 것과 하는 것 사이에서, 미와 숭고 : 칸트의 『판단력비판』과 쉴러의 『미학편지』
5강 신민과 시민 사이에서, 모순과 투쟁 : 헤겔의 『미학강의』와 역사철학
6강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사이를 건너가는 자, 위버멘쉬 : 니체의 『비극의 탄생』과 인간 안에 인간 아닌 것
7강 존재와 존재자 사이에서, 예술과 기술 : 하이데거의 『예술작품의 근원』과 모더니티
8강 일상과 혁명 사이에서, 예술과 꼬뮨 : 루카치와 아도르노 그리고 벤야민의 미학-정치

참고문헌
위에 언급된 텍스트들 (일부는 PDF문서로 제공)/ 조정환, 『예술인간의 탄생』(갈무리)

강사소개
연세대 비교문학 강사. 지젝과 아감벤 관련서 번역. 카이스트, 성균관대, 다지원 등에서 현대철학과 비평이론, 문학과 미학, 정치철학 등을 강의.



[철학/페미니즘] 다나 해러웨이 읽기 : 복수종들의 ‘정치’

강사 최유미
개강 2018년 7월 12일부터 매주 목요일 저녁 7:30 (6강, 105,000원)

강좌취지
‘정치’라는 키워드로 다나 해러웨이의 저작들을 읽는다. 해러웨이가 말하는 '정치'는 정치인들에게 맡기는 대의정치가 아니다. 그의 ‘정치’는 서구의 인식론이 대상이나 사물로 취급했던 자들의 것이다. 이들은 젠더, 인종, 계급 같은 주류 담론에서는 “부적절한(inappropriate)” 타자들이지만 그들이 “마음대로 전용할 수 없는(inappropriated)” 타자들이다. 이들의 정치는 해방을 가장하지 않기에 결코 끝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의 정치는 초월을 꿈꾸지 않기에 지금/여기에서 서로 함께 어떻게든 잘 살고 죽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1강 사이보그의 기술-생-정치(techno-bio politics)
2강 「포스트모던 몸의 생물 정치학」 : ‘몸들은 태어난 것이 아니다’
3강 「괴물들의 약속」 : ‘부적절한/전용할 수 없는 타자’들의 정치
4강 「반려종 선언」 : 개와 인간의 중요한 타자성
5강 “우리는 인간이었던 적이 없다” : 복수종들의 정치
6강 인류세, 자본세, 쑬루세

참고문헌
1.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민경숙 옮김, 동문선, 2002.
2. 『겸손한 목격자』, 민경숙 옮김, 갈무리, 2007.
3. 『Companion species manifesto』
4. 『When species meet』
5. 『Haraway reader』 “Promises of Monsters”
6. 『Staying with the trouble』 “Tentacular thinking”

강사소개
학부와 대학원에서 이론물리화학을 전공했고 그 후 20년 가까이 IT산업현장에 있었다. 지금은 수유너머 104에서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고 밥하고 싸우면서 살고 있다. 공부의 주제는 ‘함께 살기’이고, 이 주제와 함께하는 스승이자 친구는 다나 해러웨이와 공자다. 이들은 지금/여기를 사랑하면서 함께 살기에는 ‘잘 죽기’, ‘잘 죽이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다.


 

다중지성의 정원 http://daziwon.com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daziwon@gmail.com

T. 02-325-2102

메일링 신청 >> http://bit.ly/17Vi6Wi

태그 : 다중지성의 정원, 다지원, 철학, 미학, 페미니즘, 후설, 현상학, 하이데거, 레비나스, 마리옹, 윤리학, 종교철학, 신학, 사회학,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초월적 관념론, 김동규, 해러웨이, 복수종, 정치, 사이보그, 반려종 선언, 인류세, 자본세, 쑬루세, 젠더, 인종, 계급, 타자, 최유미, 정신분석학, 라캉, 지젝, 바디우, 랑시에르, 서양미학사, 칸트, 헤겔, 니체, 예술, 예술인간의 탄생, 한보희